캡스톤디자인(Capstone Design)이란?
캡스톤(Capstone)은 돌기둥이나 담 위 등 건축물의 가장 높은 곳에 올려놓는 장식으로, 최고의 업적 혹은 성취를 뜻합니다.
캡스톤디자인(Capstone Design)은 전공 교육과정에서 배운 이론을 바탕으로, 과제(프로젝트) 수행을 통하여 문제 도출부터 해결까지의 과정을 경험하며 학업적 성취를 달성하고, 나아가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현장 실무능력과 창의성을 갖춘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과정입니다.
대학 교육에 캡스톤디자인(Capstone Design)이라는 용어가 사용된 것은 2002년 「창의적 공학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확산 사업」을 통하여 공학인증제도가 도입되고, 공학 인증을 위한 필수 교육과정으로 ‘설계(Design)’ 교과목이 지정되면서부터입니다.
캡스톤디자인(Capstone Design)은 3, 4학년을 대상으로 한 ‘종합설계’ 과정에 해당하며, 공학인증제도를 도입한 공과대학을 중심으로 발전되어 오다가, 2012년 시작된 산학협력선도대학육성사업(LINC사업)을 계기로 모든 학문 분야에 산학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사업에 참여하는 모든 학과의 교과과정에 편성되어 지금의 캡스톤디자인(Capstone Design) 교육과정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캡스톤디자인의 목적
1~2학년 동안 배운 전공 교과목 및 이론 등 학업적인 성취를 바탕으로, 산업체(또는 사회)가 필요로 하는 과제를 선정하여 학생들이 스스로 기획하고, 종합적인 문제해결을 통해 창의성과 실무능력, 공동체 의식, 리더십 등을 배양하여 산업현장 및 사회 수요에 부합하는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합니다.
또한 학생의 지식, 문제 해결 방안을 생각에만 머무르게 하지 않고 유·무형적인 결과물을 도출하여, 취·창업, 기술사업화 등 후속적인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새로운 성과 창출을 가능하게 합니다.
캡스톤디자인 수행
RISE 사업단에서는 캡스톤디자인(Capstone Design) 정규 교과목을 수강하거나 수강을 희망하는 학생팀을 대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캡스톤디자인 지도교수 배정, 팀 구성, 주제 설정과 관련하여 학과별 내부 규정, 지침 등이 있을 수 있으니, 반드시 담당 지도교수 및 소속 학과에 어떤 방식으로 캡스톤디자인이 수행되는지 확인 후 진행하시기 바랍니다